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책 리뷰] 미국의 동맹전략

by scribble 2025. 3. 10.
728x90
반응형
SMALL

<미국의 동맹전략> 저자 이만석

"미국의 동맹은 단순한 군사 협력이 아니다."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동맹 네트워크를 보유한 국가다.
나토(NATO)부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동맹국까지,
미국은 군사력과 외교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패권을 유지하는 전략을 펼쳐왔다.

『미국의 동맹전략』은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등 미국 주요 기관의 사료를 바탕으로
미국의 동맹 전략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한미동맹이 미국의 전략 변화 속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분석한 책
이다.

저자는 미국의 동맹전략 변천사를 살펴보고,
트럼프 2기 시대에 한미동맹이 맞이할 변화와 위기,
그리고 한국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미국의 동맹전략 – 변천사와 특징

✔️ 1. 미국의 동맹전략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패권 국가로 자리 잡으며
    군사적·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동맹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 냉전기(1947~1991)
    • 소련과의 대결 속에서 나토(NATO), 미일동맹, 한미동맹, 미필리핀동맹 등을 체결하며
      공산권을 견제하는 ‘집단 방어 체제’를 구축.
  • 탈냉전기(1991~2001)
    • 소련 붕괴 이후, 미국은 동맹을 통한 군사력 유지보다 경제적 협력과 글로벌 경찰 역할에 집중.
  • 9·11 이후(2001~현재)
    • 테러와의 전쟁을 계기로, 미국은 ‘전통적 동맹’뿐만 아니라,
      NATO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일본·한국 등 동아시아 동맹국의 역할을 확대.

✔️ 2. 미국의 동맹전략 핵심 요소

  • 전략적 유연성(Strategic Flexibility)
    • 미국은 고정된 군사 배치가 아닌,
      신속하게 군사력을 이동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비대칭 동맹(Asymmetrical Alliances)
    • 한미동맹, 미일동맹과 같이,
      미국이 압도적인 군사력과 핵우산을 제공하고,
      동맹국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의 관계
      가 유지되고 있다.
  • 집단 방위(Collective Defense) vs. 선택적 개입(Selective Engagement)
    • 미국은 나토처럼 집단 방위 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중동이나 아시아에서는 ‘선택적 개입’ 전략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동맹을 운영.

✔️ 3. 미국의 동맹전략 변화와 한미동맹

  • 트럼프 행정부(2017~2021): 비용 분담 압박과 일방주의
    • 트럼프는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하며,
      동맹을 ‘경제적 거래’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 ‘인도·태평양 전략’을 강조하며 한미동맹의 역할을 확대하려는 시도.
  • 트럼프 2기 가능성(2025~)
    •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주한미군 철수 논의가 다시 부상할 가능성.
    • 한미동맹이 더욱 경제적 관점에서 재편될 위험성이 존재.

한미동맹의 역사 – 미국의 전략 속 한국의 역할

✔️ 1. 한미동맹의 형성 배경

  •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미동맹은 한국 안보의 핵심 축이 되어왔다.
  • 냉전기에는 북한과 중국, 소련을 견제하는 군사적 동맹으로 유지.
  • 탈냉전 이후에는 경제적·외교적 협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

✔️ 2. 한미동맹의 주요 변화

  • 전시작전권 전환 논의
    • 한국군이 전시작전권을 환수하면,
      한미연합사령부 체제도 변화하게 된다.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선택
    • 미국은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3. 트럼프 2기 시대, 한미동맹의 전망과 도전

  •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 지속 가능성
  •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 논의 가능성
  •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 참여 요구 강화

한국의 대응 전략 – 한미동맹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 1. 자율적 국방력 강화

  • 한미동맹이 중요하지만,
    한국이 독자적인 방위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 첨단 무기 도입, 국방 기술 혁신, 방산 산업 육성을 통해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자주 국방 능력을 확대해야 한다.

✔️ 2. 다자외교를 통한 균형 전략

  • 한미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중국, 일본, 유럽 등과의 관계를 조율하며 균형 잡힌 외교를 펼쳐야 한다.
  • 미국과의 협력을 유지하되,
    중국과의 경제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 외교 전략이 필요.

✔️ 3.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여 한미관계 재설정

  • 미국이 동맹을 경제적으로 접근하는 상황에서,
    방위비 분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경제 협력 강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미국의 ‘첨단 기술 공급망 재편’에 한국이 적극 참여하여
    안보와 경제를 연계한 외교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미국의 동맹전략』을 읽어야 하는 이유

✔️ 미국의 동맹 전략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한미동맹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트럼프 2기 가능성 속에서 한미동맹의 미래를 전망하고,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전략적 시각을 제공한다.

✔️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자료를 기반으로 한 분석을 통해,
미국 외교·안보 전략의 핵심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한국이 글로벌 질서 속에서
자주적 외교와 국방 전략을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한다.

"동맹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재편되는 것이다."
『미국의 동맹전략』은 한미동맹의 현실과 미래를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필수적인 책
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