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신자유주의4 [책 리뷰] 증명과 변명 《증명과 변명》 리뷰: 한국 청년 남성은 어떻게 살아가는가?한국 사회에서 "청년 남성"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 우리는 흔히 청년을 희망과 도전의 아이콘으로 여기지만, 실제로 많은 청년 남성들은 우울과 강박, 불안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의 삶을 형성하는 구조는 무엇이며, 어떤 요인들이 그들의 내면을 잠식하고 있을까?《증명과 변명》은 한국 사회에서 전형적인 청년 남성의 삶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들이 겪는 심리적·사회적 억압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탐구하는 책이다. 저자인 안희제는 한 친구의 삶을 문화인류학, 사회학, 철학, 정신분석학, 퀴어 이론 등 다양한 학문적 틀을 활용해 분석한다. 그는 단순한 개인의 서사를 넘어, 한국 사회가 구조적으로 만들어낸 ‘청년 남성의 서사’를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2025. 3. 12. [책 리뷰] 후기 자본주의 파시즘 "자본주의의 위기가 파시즘을 낳는다"우리는 흔히 파시즘을 과거의 역사적 사건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파시즘은 단순히 20세기의 유물이 아니라, 현재의 자본주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형태로 재등장하고 있다. 『후기 자본주의 파시즘』에서 미켈 볼트 라스무센은 경제 불평등, 정치적 무능, 소셜미디어를 통한 혐오 정서 확산이 어떻게 현대 파시즘을 형성하는지를 분석한다.저자는 오늘날 파시즘이 단순히 국가주의적 폭력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인종차별주의, 국수주의, 신자유주의적 경제 정책, 소셜미디어를 통한 감정 정치의 결합된 형태로 작동하고 있다고 주장한다.후기 자본주의와 파시즘의 결합✔️ 후기 자본주의란?후기 자본주의는 자본주의의 경제적 위기가 심화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국면을 의미한다.신자유주의가 심화되면서 .. 2025. 3. 6. [책 리뷰] 정신병을 팝니다 "정신질환, 정말 모두 약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우울증, 불안장애, ADHD, 조울증…. 현대 사회에서 정신질환은 더 이상 낯선 개념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모든 문제가 단순히 뇌의 화학적 불균형으로만 설명될 수 있을까? 『정신병을 팝니다』에서 제임스 데이비스는 정신질환이 단순한 생물학적 문제를 넘어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의학이 이를 외면하고 있음을 고발한다.이 책은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기존의 통념을 깨뜨리며, 신자유주의 사회가 어떻게 인간의 고통을 상품화했는지를 파헤친다.정신질환,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되는 사회✔️ 고통의 원인은 사회적 요인일 수도 있다우리는 정신질환이 마치 개인적인 문제인 것처럼 교육받아 왔다. "우울한가요? 불안한가요? 약을 드세요!.. 2025. 3. 5. [책 리뷰] 두 개의 인도 두 개의 인도 – 경제 성장과 불평등의 딜레마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대국 중 하나다. 글로벌 IT 기업들이 몰려들고, 스타트업 붐이 일어나면서 "떠오르는 경제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심각한 빈부격차가 존재한다.아쇼카 모디의 《두 개의 인도》는 바로 이 문제를 파헤친다. 저자는 인도가 경제 성장과 함께 점점 더 양극화된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상위 계층은 전례 없는 부를 쌓아가고 있지만, 하위 계층은 여전히 기본적인 생활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이다.성장의 빛과 그림자인도는 1991년 대대적인 신자유주의 개혁을 단행했다.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 규제를 완화하면서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다. 방갈로르, 뭄바이, 델리 같은 대도시는 IT 산업과 금융 허브로 .. 2025. 2.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