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적연대5

[책 리뷰] 돌봄의 역설 "우리는 돌봄을 원하지만, 돌봄을 제공하려 하지 않는다."돌봄(care)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우리는 누구나 아플 때, 늙을 때, 힘들 때 누군가의 돌봄을 필요로 한다.그러나 정작 돌봄을 제공하는 것은 부담스럽고 힘든 일로 여겨진다.『돌봄의 역설』은 이러한 사회적 모순을 분석하고,돌봄을 개인의 책임이 아닌 ‘함께-돌봄’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이다.저자는 돌봄이 일방적인 헌신이 아니라,서로의 생을 지탱하는 연대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돌봄을 사회적 책임으로서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안한다.돌봄의 역설 – 돌봄이 필요한 사회, 그러나 돌봄을 거부하는 현실✔️ 1. 돌봄 노동의 불평등돌봄은 여성, 가족, 특정 계층에게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여성들이 주로 무급 가사노동과 돌봄.. 2025. 3. 11.
[책 리뷰] 불안 사회 "불안은 우리 시대의 보편적 감정이다."우리는 왜 끊임없이 불안을 느끼는가?기술이 발전하고, 삶의 편의성이 높아졌지만,현대인은 과거보다 더 많은 불안과 우울에 시달리고 있다.『불안사회』에서 한병철은 현대 사회를 지배하는 감정을 ‘불안’이라고 진단한다.그는 불안이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사회 구조적으로 조장되는 현상이며,결국 개인을 고립시키고 사회적 연대를 파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분석한다.이 책은 단순한 심리학적 접근이 아니라,스피노자, 비트겐슈타인 등의 철학적 논의를 통해불안과 희망의 본질을 탐구하며,우리가 불안을 넘어설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불안사회 – 우리는 왜 불안한가?✔️ 1. 현대 사회에서 불안이 증가하는 이유우리는 끊임없는 성과 경쟁과 자기 착취 속에서 살아간다.성공을 위해 노력하지.. 2025. 3. 9.
[책 리뷰] 공동공간 《공동공간》 - 공간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키는가?우리는 어떤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을까?집, 회사, 카페, 공원, 거리…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다. 공간은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형성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공동공간》은 건축가이자 도시 연구자인 스타브로스 스타브리데스가 공간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한 책이다. 그는 단순히 공간을 물리적인 장소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바라본다. 특히,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간이 어떻게 소유되고 점유되며, 사람들이 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한다.공간은 권력의 도구인가, 해방의 수단인가?이 책은 공간이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힘이 작용하는 영역임을 강조한다... 2025. 2. 28.
[책 리뷰] 생일을 모르는 아이 생일을 모르는 아이 : 학대 그 후, 지켜진 삶의 이야기구로카와 쇼코의 『생일을 모르는 아이』는 학대받은 아이들이 이후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되는지를 다룬 책이다. 우리가 종종 뉴스에서 접하는 아동 학대 사건은 사건 발생 당시의 충격과 분노로 주목받지만, 이후 피해 아동들이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되는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 책은 바로 그 공백을 메우며, 학대 생존자들이 새로운 삶을 찾아가는 과정과 그 속에서 맞닥뜨리는 현실을 조명한다.학대 이후에도 끝나지 않는 삶의 싸움아동 학대는 단순히 폭력의 순간으로 끝나지 않는다. 학대를 경험한 아이들은 그 경험이 삶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신체적 상처뿐만 아니라 정서적, 정신적 트라우마는 시간이 지나도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 더욱이 사회.. 2025. 2. 24.
[책 리뷰] 평등의 짧은 역사 『평등의 짧은 역사』 – 평등을 향한 인류의 도전과 과제불평등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오래된 문제이자,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 사회는 과거보다 평등해졌을까? 아니면, 단지 겉으로만 그렇게 보일 뿐일까?토마 피케티의 『평등의 짧은 역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인류가 불평등을 극복하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걸어온 여정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책이다. 피케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속에서 평등을 향한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앞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떤 선택이 필요한지를 분석한다.이 책은 피케티가 이전에 발표한 『21세기 자본』, 『자본과 이데올로기』에서 다뤘던 핵심 개념을 압축적으로 정리하면서도, 새로운 시각에서 불평등과 평등의 개념을 바.. 2025. 2. 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