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책 리뷰]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

by scribble 2025. 3. 11.
728x90
반응형
SMALL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 저자 마거릿 워트하임 / 번역 최애리

"물리학에서 여성은 왜 보이지 않는 존재였는가?"

과학이 인류 발전을 이끈 분야임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과학계, 특히 물리학에서 여성의 이름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은 기원전 6세기 피타고라스학파부터
21세기 현대 물리학까지 2,500년의 역사를 통해
물리학계에서 여성이 배제되어온 구조를 분석하는 책
이다.
저자는 물리학이 다른 과학 분야보다 유독 여성의 진출이 적었던 이유를 탐구하며,
이를 바꾸기 위해 필요한 교육, 학계 구조, 성별 불평등 문제를 짚어낸다.


물리학에서 여성은 왜 적었는가?

✔️ 1. 고대부터 이어진 ‘남성 중심 과학’의 전통

  • 기원전 6세기 피타고라스학파는 우주를 수학적 질서로 이해하려 했으며,
    학문을 신비주의적 철학과 연결했다.
  • 그러나 여성은 자연철학과 수학에서 배제되었고,
    지적 활동보다는 가사와 육아를 맡아야 한다는 관념이 강했다.

✔️ 2.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 여성에게 허락되지 않은 학문

  • 과학 혁명의 시대에도, 여성은 공식적으로 대학과 연구기관에 진출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 소수의 여성 과학자들은 비공식적으로 연구에 참여했지만,
    논문을 발표할 때 남성의 이름을 빌려야 했다.

✔️ 3. 근대 물리학의 발전과 남성 중심의 연구 환경

  • 19세기 이후, 물리학이 본격적으로 학문적 체계를 갖추면서
    여성들은 더욱 배제되었다.
  • 특히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할 기회 자체가 거의 없었으며,
    실험실과 연구소는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 4. 현대 물리학과 보이지 않는 차별

  • 20세기 들어 일부 여성 물리학자들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주요 학술기관과 연구소에서 여성의 숫자는 극히 적었다.
  • 여성 과학자들은 노벨상 후보에서 배제되거나,
    연구 성과를 남성 동료에게 빼앗기는 경우도 많았다.
    • 대표적인 예: 조슬린 벨 버넬(Jocelyn Bell Burnell)
      • 펄사(Pulsar)를 발견했지만,
        노벨 물리학상은 그녀의 지도교수에게 돌아갔다.

물리학에서 여성들은 어떤 기여를 해왔는가?

✔️ 1. 히파티아(Hypatia, 4~5세기)

  •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여성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 수학과 천문학 연구로 유명했지만,
    당시 사회의 남성 중심적 분위기 속에서 폭력적으로 살해됨.

✔️ 2. 마리 퀴리(Marie Curie, 1867~1934)

  •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이자,
    유일하게 두 개의 과학 분야(물리학·화학)에서 노벨상을 받은 인물.
  • 방사능 연구로 현대 물리학과 의학에 큰 기여를 했음에도,
    당시 여성 과학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에 시달렸다.

✔️ 3. 리제 마이트너(Lise Meitner, 1878~1968)

  • 핵분열(nuclear fission)의 개념을 발견했지만,
    노벨 물리학상은 공동 연구자였던 오토 한(Otto Hahn)에게만 수여됨.

✔️ 4. 조슬린 벨 버넬(Jocelyn Bell Burnell, 1943~)

  • 펄사(Pulsar) 발견으로 천체물리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나,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노벨 물리학상 후보에서도 배제됨.

✔️ 5. 베라 루빈(Vera Rubin, 1928~2016)

  • 암흑물질(Dark Matter)의 존재를 밝혀낸 천문학자.
  • 그녀의 연구는 현대 우주론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오랫동안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물리학에서 여성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필요한 변화

✔️ 1. 교육에서의 성별 장벽 제거

  • 여성들이 초·중·고등학교에서부터
    과학과 수학을 접할 기회를 더 많이 가져야 한다.
  • 특히 물리학과 공학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멘토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 2. 학계 구조 개혁 – 공정한 기회 보장

  • 연구실, 대학, 학술기관에서
    여성 과학자들에게 동등한 연구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3. 과학계의 유리천장 깨기

  • 여성 과학자들이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주요 연구소와 학술 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여성 인력을 등용해야 한다.
  • 노벨상 등 주요 과학상에서 여성 연구자들의 기여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 4. ‘여성 과학자’가 아닌, ‘과학자’로 인정받는 문화 형성

  • 여성 연구자들이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고,
    동등한 연구자로 인정받는 문화가 필요하다.
  • 과학 역사에서 여성들의 기여를 적극적으로 조명하고,
    교과서와 대중 과학서에서도 여성 과학자들을 더 많이 다뤄야 한다.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을 읽어야 하는 이유

✔️ 과학, 특히 물리학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배제되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조명한다.
✔️ 과거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과 그들이 겪은 차별을 분석하며,
여전히 존재하는 성별 불평등 문제를 탐구한다.

✔️ 여성 과학자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교육·연구 환경·제도적 개혁이 왜 필요한지를 강조한다.

✔️ 과학과 젠더 문제를 연결하여,
보다 공정하고 혁신적인 학문 환경을 고민하게 만든다.

"여성이 배제된 과학은 완전한 과학이 아니다."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은 과학에서 성별 불평등을 돌아보고,
어떻게 더 포용적인 학문 환경을 만들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만드는 필독서
다.

728x90
반응형
LIST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 바다의 천재들  (2) 2025.03.11
[책 리뷰] 빛나는 형태들의 노래  (4) 2025.03.11
[책 리뷰] 연루됨  (2) 2025.03.11
[책 리뷰] 시간 불평등  (0) 2025.03.11
[책 리뷰] 돌봄의 역설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