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책추천117

[책 리뷰] 정의 수업 "불의가 만연한 시대, 정의란 무엇인가?"우리는 매일 정의(Justice)에 대해 이야기한다.그러나 정의란 단순히 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절대 타협할 수 없는 가치를 지키는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곤 한다.『정의 수업』은 2,000년 전 스토아 철학자부터 현대의 지도자들까지,정의가 위기의 순간에서 어떻게 발휘되는지를 탐구하는 책이다.라이언 홀리데이는 개인의 이기심을 넘어,선의와 연대로 나아갈 수 있도록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정의의 법칙을 제시한다.정의란 무엇인가? – 스토아 철학에서 배우는 정의의 본질✔️ 1. 정의는 원칙을 지키는 일이다.스토아 철학자들은 ‘정의란 흔들리지 않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사회적 압력이나 개인의 이익 때문에타협해서는 안 되는 가치를 지키는 것이 정의의 핵심이다.. 2025. 3. 11.
[책 리뷰] 시간 불평등 "부의 불평등만큼이나, 시간의 불평등도 심각하다."시간은 누구에게나 24시간으로 주어진다.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자유로운 시간을 가지지만,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시간을 온전히 노동에 바쳐야 한다.『시간 불평등』은 시간 사용의 불평등이 어떻게 형성되었고,자본주의와 노동 중심 사회에서 시간이 어떻게 착취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책이다.저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시간 사용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며,다수가 ‘자유로운 시간’을 빼앗긴 채 노동에 묶여 있는 현실을 비판한다.그리고 노동이 아니라 ‘양질의 여가, 돌봄, 정치적 숙의’에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는 미래를 제안한다.시간도 자원이지만,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 시간의 불평등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고대 사회에서는 노동과 여가의 구분이 명.. 2025. 3. 11.
[책 리뷰] 돌봄의 역설 "우리는 돌봄을 원하지만, 돌봄을 제공하려 하지 않는다."돌봄(care)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우리는 누구나 아플 때, 늙을 때, 힘들 때 누군가의 돌봄을 필요로 한다.그러나 정작 돌봄을 제공하는 것은 부담스럽고 힘든 일로 여겨진다.『돌봄의 역설』은 이러한 사회적 모순을 분석하고,돌봄을 개인의 책임이 아닌 ‘함께-돌봄’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이다.저자는 돌봄이 일방적인 헌신이 아니라,서로의 생을 지탱하는 연대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돌봄을 사회적 책임으로서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안한다.돌봄의 역설 – 돌봄이 필요한 사회, 그러나 돌봄을 거부하는 현실✔️ 1. 돌봄 노동의 불평등돌봄은 여성, 가족, 특정 계층에게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여성들이 주로 무급 가사노동과 돌봄.. 2025. 3. 11.
[책 리뷰] 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이주민은 한국 사회의 일부가 될 수 없는가?"한국은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니다.국내 이주민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한국 경제와 사회는 이미 이주민 없이는 유지되기 어려운 구조가 되었다.하지만 여전히 이주민들은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으로만 취급되며,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다민족 사회 대한민국』은 이주민 문제를 단순한 개인의 의식 변화가 아니라,정부의 차별적 이민 정책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로 분석하는 책이다.저자는 한국 사회가 어떻게 이주민을 받아들이면서도그들을 동등한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지를 비판하며,새로운 이민정책과 사회적 담론이 필요함을 강조한다.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은 어떤 존재인가?✔️ 1. 한국의 이주민 수 증가 – 다민족 사회로 가는 길현재 한국.. 2025. 3. 11.
[책 리뷰] 귀족 시대 "귀족은 특권층인가, 시대의 희생양인가?"‘귀족’ 하면 우리는 특권을 누리며 사치스러운 삶을 살아간 상류층을 떠올린다.하지만 그들은 단순한 권력층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적응했던 존재였다.『귀족 시대』는 고대 그리스·로마부터 19세기까지,2천 년 이상 이어진 귀족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추적한 책이다.저자는 귀족의 탄생, 성장, 몰락까지의 흐름을 분석하며,귀족이 단순히 부유한 계층이 아니라,각 시대마다 독특한 역할을 했던 사회적 계층이었음을 조명한다.귀족이란 누구인가? – ‘블루 블러드’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까지✔️ 1. 귀족의 기원 – 어디서 시작되었나?귀족(nobility)은 라틴어 ‘노빌레스(nobiles)’에서 유래했으며,‘고귀한 혈통’을 뜻한다.고대 사회에서 전사 .. 2025. 3. 11.
[책 리뷰] 독재의 탄생 "공화국은 어떻게 독재로 무너지는가?"로마 공화국은 약 300년간 존속하며 법과 전통을 기반으로 운영된 민주적 체제였다.그러나 결국 황제 독재로 변모하면서,역사상 가장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하는 동시에정치적 자유를 상실한 사회가 되었다.『독재의 탄생』은 로마 공화국이 어떻게 내부 갈등과 정치적 분열을 겪으며황제 중심의 독재 체제로 전환되었는지를 분석한 책이다.저자는 로마 공화국이 무너진 과정과 현대 민주주의 국가의 유사성을 비교하며,공화국이 독재로 전락하는 경고 신호를 제시한다.로마 공화국의 붕괴 과정 – 독재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1. 공화정의 시작 – 균형과 견제의 정치 시스템로마 공화국은 왕정을 폐지하고,원로원과 민회(대중) 간의 균형을 통해 운영되었다.권력은 특정 개인이 독점하지 않도록.. 2025. 3. 10.
[책리뷰] 피카소의 전쟁 "현대미술은 어떻게 미국에서 꽃피웠는가?"오늘날 뉴욕은 현대미술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그러나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미국은 현대미술의 불모지였다.『피카소의 전쟁』은 미국이 어떻게 현대미술의 중심지가 되었는지,그 과정에서 어떤 인물과 사건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추적한 책이다.저자는 미국의 법률가이자 컬렉터였던 존 퀸(John Quinn),뉴욕현대미술관(MoMA)의 초대 관장이었던 앨프리드 H. 바 주니어(Alfred H. Barr Jr.)를 중심으로20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미국에서 현대미술이 수용되고 확산된 과정을 탐구한다.이 책은 단순히 예술사만을 다루지 않는다.전쟁과 경제위기, 대중의 반응, 정치적 논란 등이현대미술이 미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성장했는지를 결정했다는 점을 강조한다.미국, 현.. 2025. 3. 10.
[책 리뷰] 종말을 준비하는 사람들 "왜 어떤 사람들은 종말을 준비하는가?"기후 변화, 팬데믹, 핵전쟁, AI의 위협…우리는 불확실성과 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다.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종말’을 대비하며 살아간다.『종말을 준비하는 사람들』은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종말을 준비하는 사람들,즉 ‘프리퍼(Prepper)’들의 심리와 행동을 탐구한 책이다.저자는 환경론자, 기술 낙관주의자, 음모론자, 억만장자 등각기 다른 종말론을 믿는 사람들을 직접 만나며그들의 사고방식이 어떻게 형성되었고,그것이 현대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분석한다.누가, 왜 종말을 준비하는가?✔️ 1.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환경론자들기후 변화는 더 이상 미래의 위험이 아니라, 현재의 위기가 되었다.폭염, 홍수, 산불, 해수면 상승 등의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은자연 재해.. 2025. 3. 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