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책 리뷰]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by scribble 2025. 3. 13.
728x90
반응형
SMALL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저자 김범석

“죽음은 끝이 아니라, 곡선처럼 다가온다.”

과학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보해왔다.
하지만 인간이 여전히 두려워하는 질병, 암.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는 20년 넘게 암을 치료하고 연구해 온 종양내과 전문의 김범석
한 사람의 아들이자, 한 명의 과학자, 그리고 죽음을 곁에서 지켜본 한 인간으로서
암과 삶, 죽음, 그리고 그 경계에 대해 써내려간 통찰의 기록이다.


1. 아버지의 죽음에서 출발한 과학자의 여정

  • 저자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암으로 잃은 경험을 계기로
    암이라는 질병에 대한 지적·정서적 탐구를 시작한다.
  • 이 책은 단순한 과학서가 아니라,
    상실을 넘어 이해로 나아가는 한 인간의 내면적 여정이기도 하다.
  • 아버지의 죽음은 그에게 죽음이라는 ‘종착점’이 아니라
    ‘연속적인 현상’으로서의 삶과 죽음
    에 대한 질문을 남겼다.

2. 암이라는 존재 – 불멸성과 죽음의 아이러니

  • 암세포는 죽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복제하고 진화한다.
  • 그렇기에 역설적으로, ‘불멸을 추구하는 세포가
    결국 숙주인 인간을 죽음으로 이끈다’는 아이러니
    를 품는다.
  • 저자는 이 아이러니 속에서,
    인간 존재 자체의 욕망과 한계를 비춘다.

✔️ 암은 우리 자신이다

  • 암세포는 외부 침입자가 아니다.
  • 우리 몸의 일부이며, 우리 세포가 스스로 복제를 멈추지 못한 결과다.
  • 그래서 암은 ‘우리 안의 타자’이며,
    우리 존재의 모순이 가장 날카롭게 드러나는 지점이다.

3. 의학의 진보, 죽음을 늦추는 일일 뿐 멈출 수는 없다

  • 21세기 들어, 암 치료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지만
    죽음을 정복하지는 못했다.
  • 항암제, 면역치료,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전도
    결국 ‘삶의 질’과 ‘죽음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일 뿐이다.
  • 저자는 이 책에서 의학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바라본다.

✔️ "의학은 인간을 불사의 존재로 만들 수 없다.
하지만 인간다운 죽음을 준비하게 만들 수는 있다."


4.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 선형적 사고의 오류

  • 우리는 보통 삶 → 병 → 죽음이라는 직선적 도식으로 생을 이해한다.
  • 그러나 실제 삶과 죽음은 복잡하게 얽힌 곡선,
    반복과 유예, 예외와 불확실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저자는 죽음을 병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삶의 한 과정으로 통합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5. 암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암은 고통이자 교사다.
  • 삶의 의미, 시간의 소중함,
    인간관계, 신체의 유한함, 사랑의 방식,
    죽음을 준비하는 태도까지

    암은 삶에 대해 거꾸로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인간을 돌아보게 만든다.

✔️ 암은 죽음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책이다.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를 읽어야 하는 이유

✔️ 의학적 지식과 철학적 사유가 만나는 깊이 있는 에세이다.
✔️ 암이라는 구체적 질병을 통해,
삶과 죽음, 인간 존재에 대한 보편적 질문을 던진다.

✔️ 저자 자신의 가족사와 임상 경험이
독자에게 감정적 울림과 지적 통찰을 동시에 안겨준다.

✔️ 삶의 끝에서야 비로소 보이는 진실들에 대해
사려 깊고 조심스럽게 이야기한다.

“죽음은 한순간이 아니다.
서서히 다가오고, 그 안에서도 삶은 계속된다.”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는 죽음을 통해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건네는 따뜻하고 단단한 안내서
다.

728x90
반응형
LIST